이동평균선 응용하기
5일, 20일선은 단기추세를 파악하는 선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매도와 매수의 시점 파악을 할 수 있다. 보통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하게 되면 골든크로스라고 하는데, 이 경우 매수의 시점이 된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사실 이 시점에서 눌림목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시세가 나아지질 못하고 약세로 밀리게 된다. 중요한 것은 5일선이 20일선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의 증가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시세를 분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추세상으로 하락세를 그리다가 바닥권에서 기간 조정을 마치고 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5일선이 20일선을 상향돌파하면서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바닥권에서 기간 조정을 충분히 거친 종목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향추세에서 단기반등을 통한 골든크로스는 재차 하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추세가 완연하게 상승추세로 전환되게 되면 20일선이 60일선을 골든크로스 형성하고, 재차 중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하게 되면서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추세가 변형된다.
반대로 정배열 상태에서 5일선이 20일, 60일, 120일선을 차례로 하향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하는데 대세가 하락세로 완연하게 꺾였음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5일선이 20일선을 하향돌파하게 될 경우 20일선이 지지를 해주면서 단기 반등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가 다시 매수의 시점이 되기도 한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할 때에는 저항선으로 작용을 하게 되고 반대로 하향돌파시에는 지지선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동평균선을 통한 매매시점을 잡을 때는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가 형성되는 시점에서 적극적인 매매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투자전략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5일선을 중심으로 일봉이 상향돌파와 하향돌파를 중심으로 매매시점을 잡을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