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창조/주식 투자 및 거래

일리어트 파동 이론

반응형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주가는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구성된다는 전제에 따른 이론이다.

1) 충격파동(impulse wave)과 조정파동(corrective wave) 충격파동은 1번, 3번, 5번 파동으로 주가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이고, 조정파동은 2번, 4번 파동으로 주가의 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2) 하락 3파는 a, b, c파동으로 구성된다.

3) 순환과정 : 큰 사이클과 짧은 사이클의 순환과정이 지속된다.

4) 하나의 사이클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구성된다.

[절대분변의 법칙]

엘리어트 이론에서는 많은 예외와 변수를 두고 있어서 실제로 엄격하게 적용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절대법칙이 3개가 있는데 이 법칙을 어기면 엘리어트 이론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1) 2번 파동이 1번 파동의 시작점 이하로 되돌리는 경우는 절대 없다.

2) 1, 3, 5번의 충격파동 중 3번 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다.

3) 4번 파동은 절대로 1번 파동과 겹치지 않는다.

[엘리어트 이론의 원칙]

1. 상승 5파

1) 1번 파동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으로 이제까지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다섯 개의 파동 중 가장 짧으며, 1번 파동은 충격파동이므로 반드시 다섯 개의 파동으로 구성된다.

2) 2번 파동

1번 파동과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대개의 경우 2번 파동은 1번 파동을 38.2퍼센트 또는 61.8퍼센트 비율만큼 되돌리는 경향이 높고 1번 파동을 100퍼센트 이상 되돌리는 경우는 없다.  이는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 얼마 안 되는 절대 불가침의 법칙이다.

  2번 파동은 성격상 조정파동 이므로 반드시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번, 2번 파동은 이중 바닥형이나 역 헤드 앤 숄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3번 파동

3번 파동은 다섯 개의 파동 중 가장 강력하고 가격변동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파동으로 일반적으로 다섯 개의 파동 중에서 가장 길다.  다른 파동의 길이가 3번 파동보다 길 수는 있어도 3번 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일 수는 없다.

4) 4번 파동

4번 파동은 3번 파동의 38.2퍼센트 되돌리는 경우가 많으며, 3번 파동을 다섯 개의 작은 파동으로 나누었을 때 그중에서 네 번째 파동만큼 되돌아가는 경우가 많으며, 4번 파동이 결코 1번 파동과 겹치지 않는다.

5) 5번 파동

5번 파동은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추세가 막바지에 있는 국면에서 3번 파동 비해 가격의 움직임이 그리 활발하기 못하며 거래량도 3번 파동에 비하여 적게 형성된다.

2. 하락 3파

1) a 파동

a파동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되어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는 충격파동이므로 반드시 다섯 개의 파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 b파동

b파동은 하락추세의 시작인 a파동에 반대하는 매입세력으로 인해 상승추세가 이어지는 조정파동이며 세 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다.

3) c파동

c파동은 하락파동의 마지막 파동으로 거래는 활발하고 가격의 변동폭도 크게 나타난다.  가격의 하락추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사람의 마음을 지배하는 시기이다.

3. 하락 3파의 특징

a - b- c파동으로 연결되는 하락 3파의 패턴은 크게 지그재그형, 플랫형, 불규칙조정형, 삼각형 등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1) 지그재그형은 5 -3 - 5의 작은 파동으로 갖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조정파동인 b파동은 a파동의 시점, 즉 5번 파동의 고점보다 낮아 a파동이 61.8퍼센트 정도 상승한다.  c파동의 저점은 a파동의 저점보다 낮게 형성되며 길이는 a파동과 비슷한 것이 특징이다.

2) 플랫형은 a -b- c 세 개의 파동이 각각 3 -3-5의 작은 파동으로 세분된다.  따라서 b, c파동의 길이가 모두 a파동의 길이와 비슷하나 c파동은 a파동보다 다소 낮을 수 있다.

3) 불규칙 조정형은 플랫형이 변형된 형태로서 b, c파도의 길이가 모두 a파동보다 길어 b파동은 a파동의 1.328배 또는 1.236배, c파동은 a파동의 1.618배로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삼각형형은 각각 세 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된 파동이 모두 다섯 개 모인 형태로 각각의 파동들은 서로 61.8퍼센트만큼 조정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파동을 올바르게 매기는 방법]

1. 일반적인 원칙

1) 엘리어트 이론의 법칙과 원칙을 존중 => 절대 불가침 법칙 준수.

2) 충격파의 연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주가의 흐름으로 파동을 파악하라 => 돌파갭이 나타나면 3파나 5파 또는 c파.

4) 변형된 모양보다는 보편적인 것을 먼저 적용하라 => 예외 적용에 주의.

2. 파동의 세분을 통한 구분방법

    파동                            피보나치 비율의 이용

2번 파동        1번 파동을 38.2퍼센트 이 비율로 되돌리거나 또는 61.8퍼센트의 비율로 되돌리는 경향이 많음.

3번 파동        1번 파동의 1.618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음.

4번 파동        3번 파동을 38.2퍼센트 되돌리는 경우가 많음.

5번 파동        1번 파동의 길이와 같거나 1번 파동에서 3번 파동까지 길이의 61.8퍼센트의 길이로 형성된 경우가 많음

b 파동            지그재그에서는 a파동을 38.2퍼센트 또는 61.8퍼센트의 비율로 되돌림.

                       그리고 불규칙 패턴에서는 a파동의 1.382배 또는 1.236배의 길이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삼각형 패턴   삼각형을 구성하는 가 파동들은 서로 앞 파동의 61.8퍼센트의 길이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

3. 적용상의 문제점 

엘리어트 이론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우선 시작과 끝이 불분명하고 시간 적용이 어렵다.  또한 각 단계의 전환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것은 이론 내에서 모든 가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예외 적용의 범위를 열어놓고 있고 실제로 수학적인 접근을 하기 때문이다.

  가령 3파의 말기에 조정이 오면 이것이 4파로 진입을 하는지 아니면 3번 파동의 연장파인 지를 판단하길 어렵다. 이것은 5파가 진행이 되고 5파에서의 특징들이 나타나면서 확실해진다.

즉, 시간이 지나가봐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엘리어트 이론이 발표 초기에 외면을 받은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