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창조/주식 투자 및 거래

주식매매 매수 타이밍 제 2원칙

반응형

  매수 제2원칙은 상승하던 주식이 매물을 맞으며 하락 조정을 하여 5일선과 20일선 사이까지 하락한 상태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는 방법이다.  강한 주식이라도 중간중간 조정을 거치며 상승을 하는데 이 구간을 주식시장에서는'눌림목'이라고 표현하며, 제2의 원칙은 눌림목 매수를 말한다.  추세적으로 상승하는 주식의 눌림목 조정을 기다려 매수하는 방법이다.

1. 매수 제2원칙: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을 때

  5일선 위에서 어느 날 가격 하락이 시작되면 상투를 만들고 하락으로 전환되는 것인지, 추세 상승 중 조정을 받는 것인지는 당시에는 알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몇 가지 원칙에 부합해야 조정이라고 판단한다.  우선 하락하는 동안 거래량이 현저히 감소해야 한다.  하락 할 때 거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주가를 끌어올리던 황소들이 매도하는 것이거나 강력한 곰이 출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가격 하락의 폭이 직전 추세의 상승폭 50% 이내여야 한다.  이때 거래량 증가 장대음봉으로 급락하면 조정이 아닌 추세 하락이다.  기술적 분석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다우 이론이나 엘리엇 파동 이론이 매수 제2원칙과 유사하다.

2. 매수 제2원칙의 포인트는 세 가지다. 

  첫째, 주가가 고점에서 매물을 맞으며 하락하기 직전 상승할 때 공격적 매수에 의해 급등한 주식이 좋다.  완만한 기울기로 작은 폭의 상승을 한 주식보다는 강한 매수세에 의해 급등한 주식이 조정 후 재 상승하는 힘이 강하다.  연속적으로 급등했다는 것은 그만한 이유(재료)가 있어서 강한 황소가 진입한 것이다. 그들은 하락 조정 후 곧바로 다시 강한 상승을 이끌 것이며, 하락 조정의 폭도 작고 기간도 짧다.  강한 주식의 상승 탄력을 이용해 매매하기 위해서는 20일선 까지 충분히 하락하길 기다려선 안된다. 강한 주식일수록 10일선 전후에서 조정을 마무리하고 상승 추세를 다시 이어간다.  단기에 큰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완만한 추세 상승을 하는 주식이나 20일선 까지 매물을 맞고 하락한 주식은 좋지 않다. 5일선을 깨고 하락 조종을 한 후 곧바로 상승하는 주식을 선택해야 한다.  눌림묵 후 얼마나 강한 상승을 다시 할 것인가는 하락 조정 직전 상승할 때 얼마나 강하게 상승했는지에 달려 있다.  그 주식의 상승 강도는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다.

  둘째, 고점 후 하락이 조정 하락인지 하락 추세로의 전환인지를 판단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거래량이다.  하락 시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해야 조정이다.  만일 고점의 거래량이 50만 주라면 20만 주 이하로 급격히 감소해야 한다.  거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상승 시기에 매집했던 세력이 매도하는 것일 수 있다.  거래량이 급감하며 하락한 다는 것은 매도세가 강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셋째, 거래량이 감소하며 조정 하락하다가 다시 상승하는 당일엔 오전부터 거래량이 크게 증가해야 한다.  거래량 없이 상승하는 것은 매수 강도가 약한 것으로, 장중에 다시 하락할 수 있다.  거래량이 증가하며 상승하는 것은 매집 주체가 다시 진입한 것이다. 우리는 강한 매수를 확인하면서 추종해야 한다.  하락 조정 후 다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양봉을 만들어 직전 하락폭의 50%를 넘는 상승이 나타나면, 조정 하락을 마무리하고 다시 상승 추세로 진입하는 첫 상승이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오전부터 거래걍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양봉이 아니고 음봉이 발생한다면, 눌림목 후 상승이 아니고 반등 시도 후 추세 하락 전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