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치창조/주식 투자 및 거래

주식매매 매수 타이밍 제3원칙

반응형

매수 제3원칙은 주가가 20일선을 하향 돌파하며 급락하고 있을 때 매수 타이밍을 잡는 방법이다.  흔히 20일선을 주가 움직임의 중요한 추세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하향 돌파 후엔 크게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20일선 아래에서 연속적으로 급락하고 있는 주식 중에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한 주식을 선별하고, 그중에서 다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양봉을 만드는 주식을 매수한다.

1. 매수 제3원칙은 전체 시장의 저점을 확인할 때 

   20일선 아래로 급락하는 주식들은 대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하는데, 그중에서도 거래량이 최대한 감소한 주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흔히 주가가 많이 하락하면 과도한 매도하고, 저평가 구간이라고, 단기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무작정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급락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크게 하락하고 있는 주식을 매수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원칙을 지켜야 한다.

  매수 제3원칙은 전체 시장의 저점을 확인 할 때 유용하며 이해하기도 쉽다.

'확인 후 발목, 무릎에서 사라'

개별 주식을 급락 후 저점에서 매수하고자 할 때는 해당 주식의 적정 가치나 일반적인 기술적 분석도 중요하겠지만, 실전 투자에서는 매수와 매도의 힘을 확인해야 한다.  급락할 때 거래량이 가능한 적은 주식이 좋고, 가격이 많이 하락한 후에는 다시 거래량이 증가하며 상승해야 한다.  이때 꼭 장대양봉이 아니어도 좋다.  십자형의 봉이어도 저점일 가능성이 크다 

  하루 거래량은 장이 모두 끝나고 나서야 알 수 있으므로, 거래량이 급증했는지 아닌지는 시자이 마감될 무렵에 야 알 수 있다.  이것이 매우 중요한 팁이다.  오전에 매수했는데 오후에 다시 하락하여 음봉을 만들면 다음 날도 더 하락할 것이기 때문이다. 강세 종목은 오전10시 이전이 매수 타이밍, 약세 종목은 오후 2시 30분 이후가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도 주식을 사려는 힘과 팔려는 힘이 주가 움직임의 근간이 된다. 

  매수 및 매도 원칙을 만들어 설명하는 이유는 실전 투자에서 주가 움직임의 근간인 돈의 움직임과 거래 주체들의 심리가 반영된 차트와 거래량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2.마무리

  지금까지 매수 타이밍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시장이 급등하는 시기엔 매수 제1원칙, 추세상승 시기엔 매수 제2원칙, 급락시기엔 매수 제3원칙을 적용하면 될 것이다.  또는  급등하는 주식은 매수 제1원칙, 완만한 추세 상승 주식은 제2원칙, 급락하는 주식은 제3원칙을 적용하면 될 것이다.  세 가지 원칙을 잘 이해하고 적용하면 주가의 위치가 어디든 단순한 원칙을 바탕으로 매수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장에 맞춰 매매 원칙을 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시장이 하락하고 잇는데 강세 주식을 추종하다가 상승에 매수, 하락에 소절매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시장이 급등하고 있는데 맨날 약세 주식만 쳐다보다가 강한 주식에서 얻을 수 있는 큰 수익 기회를 놓칠 수 있다. 시황에 따라 매매 방법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건 분명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성향과 자금 운용 기간, 심리에 맞는 매매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만의 투자원칙을 세우라고 조언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원칙에 맞지 않는 시황에서는 투자를 멈추고 쉬어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