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의50%를 전일 매수자가 강한 '황소'라면 다음 날 가격이 자신의 평균 매수가 아래로 하락하지 않도록 방어할 것이다. 장대음봉과 대량거래로 하락했다는 것은 '공격적 매도'가 있었다는 뜻이다.
1. 전일 양봉의 50%를 지켜라.
황소의50%를 전일 매수자가 강한 '황소'라면 다음 날 가격이 자신의 평균 매수가 아래로 하락하지 않도록 방어할 것이다. 그래서 조정 하락은 전일 장대양봉의 50%를 하향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이럴 때 '조정'이라고 판단하고 이후 다시 상승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거래량 측면을 보자 전일 100만 주의 거래량이 있었는데, 다음 날 거래량이 다시 20만주 정도로 급격히 감소하면 상승이든 하락이든 전일 매수자들이 매도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날 가격이 상승하지만 거래량이 여전히 100만 주 이상으로 급증하면 전일 매수자들이 매도 중일 가능성도 있고 특히 가격이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급중하면 전일 매수자들이 매도하고 있을 가능서이 크다. 공격적 매수자들이 공격적 매도자로 전환되면 주가는 급락할 수 있다. 그들의 힘을 추종하며 주식을 매수했거나 보유하고 있다면, 그들이 매도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거나 추가로 매수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이 거래량을 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급등 다음 날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가격은 전일 양봉의 최소한 50%위에 있어야 하며, 특히 30% 상단 부근에서 조정 하락해야 한다. 이때 거래량 역시 전일 거래량보다 현저히 줄어들어야 매수지들이 매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이 오늘은 공격적 매수를 하지 않지만 매도하는 것도 아니므로, 조정 후 다시 강한 매수를 할 것이라는 판단이 주가의추세 하락이 아닌 조정 하락이라는 근거가 된다.
2.전일 음봉의 50%를 지겨라. 곰의 40%룰
장대음봉과 대량거래로 하락했다는 것은 '공격적 매도'가 있었다는 뜻이다. 그들이 매도한 100만 주는 주가를 아래로 내려서라도 빨리 팔고 싶어 한 물량이었던 반면, 매수자들은 강한 매도자에 의해 '피동적으로' 산 것으로 보수적 매수다. 장대음봉을 만들며 주가가 하락했기에 매수자들은 손실인 상태로 주식을 보유하게 된다. 이들의 보유 물량은 주가 반등 시 언제든 출회될 수 있는 매물이며, 이들이 매수한 가격대는 이후 저향대로 작용한다.
전일 매도한 곰이 1명이고 똑같은 수량으로 꾸준히 매도했다면 평균단가는 하락폭의 50%일 것이다. 그들이 공매도 세력이라면,다음날 강한 황소가 진입하여 50%를 넘는 가격 급등이 발생할 경우 손실 상태에 있게 된다. 즉 곰들의 힘보다 강한 황소의 진입이 있어야 주가는 상승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락하는 동안 피동적 매수로 물려있던 매물이 나와도 모두 체결시키면서 상승해야 강한 상승이다.
그렇다면 거래량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일 거래량보다 현저히 많은 거래량이 발생하면서 주가가 급등해야 본격적인 추세 반전이 된다. 반등은 하는데 거래량이 없으면, 매수 주체의 힘이 약한 것이다. 비록 반등은 했지만 공격적 매도자들이 추가로 매물을 내놓아 이후 다시 하락할 수 있다. 곰들의 매물을 모두 소화하는 황소가 진입하면 거래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주가가 많이 하락한 주식이 저점을 형성했는를 판단할 때는 단지 가격의 반등만이 아니라 거래량의 급증을 동반는지를 봐야 한다. 거래량 급증은 추세 반전의 신호이다. 가격이 많이 상승한 상태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 조만간 상승이 끝나고 하락 반전한다는 신호이며, 가격이 많이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 조만간 하락이 마무리되고 상승 반전한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주가 움직임에는 강력한 주체의 공격적 매수 또는 매도가 있는데, 이를 통해 '그들이 현재 매집을 하고 있는가?', '매도하기 시작했는가?, '다 팔았는가?','강한 매수세가 진입했는가?'를 확인해야 한다.